표현

by hun

나는 교육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표현력을 기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언제나 강조되어야 하고 또한 평생 배워야 할 것이 국어라고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어휘력이다. “기쁘다”는 말은 “벅차다” 또는 “행복하다”는 말과 결코 같지 않다. (아직 까지 우리 나라에 내놓을만한 유의어 사전이 없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자기 속에 있는 그 독특한 감정 또는 생각을 적절하게 표현할 단어를 능숙하게 쓸 수 있어야 하겠다. (우리가 말싸움을 할 때 “네가 아까 그렇게 말했잖아!” “내가 언제 그랬니!”와 같은 말을 얼마나 자주 듣는지…) 어휘의 지경을 풍부하고 넓게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읽어야 한다, 시를 노래해야 한다. 그리고 써야 한다.

언어 없이 사고는 불가능하다. 사상과 언어는 직결되어 있다. 개념들이 대충 잡혀 있는 사람의 언어는 부정확하다. 생각이 혼란스러운 사람의 말과 글은 파편적이고 어지럽다.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의 설명은 간결하고 명쾌하다.

수학의 유익 역시 이러한 선상에 있다. 특히 추상적인 개념을 정의하고 그것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다루고 표현하는 훈련과 언어를 제공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생각과 표현을 두루뭉실하지 않고 정연하게, 애매모호하지 않고 명확하게 하는 훈련을 제공한다.

수학자들을 만나면서 감화를 받는 것은,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것을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고 설명하려 애쓰는 것과 또 그렇게 하는 것을 미덕이라고 여기는 이들의 태도다. 상대방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자신의 설명력 부족으로 일차적 원인을 삼는 자세이다. 다른 분야는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수학계에는 이러한 분위기가 강하다. 이것은 참으로 훌륭한 것이라 생각한다. 예를 들자면 학생이 아무리 쉬운 질문을 해도 “그건 전에 설명했던 것이잖아”라는 대답을 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수학자들은 대개 생각한다.

그러나 다른 어떤 곳에서는 자기가 하는 일이 얼마나 지적(知的)으로 높은 수준의 것인지를 상대에게 보이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삼는 분위기가 강한 것을 본 적이 있다. 그런 곳에서는 인간적인 분위기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함께 알아간다’는 것 보다는 ‘누가 옳으냐’에 집중하게 된다. 아무리 내가 옳다고 생각해도 그것을 상대가 알아 듣지 못하면 과연 나는 바로 이해하고 있다고 장담할 수 있는가?

수학계에서 글쓰기와 강의법이 무척이나 강조되고 있는 것을 보며 느끼는 것이다.